Jenkins

Amazon Linux EC2 Jenkins 설치 및 설정 과정(유저, 포트 변경)

코카쓰 2022. 11. 10. 12:57

2022.11 기준

 

회사에서 홈페이지 관리를 AWS EC2와 Jenkins를 이용해 관리하자고 하여 설치, 설정하며

순서를 정리해봤습니다.

 

아래 순서로 하시면 큰 무리 없이 설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


 

0. Jenkins는 Java로 구동 -> Java 설치 필요

1. 설치 가능한 자바 버전 확인
 - yum list java*

2. Java11 설치(젠킨스 2.357 이후부터는 Java 11과 17만 지원. 아래 이미지 파일 참고)
 - sudo yum install java-11-amazon-corretto.x86_64



3. 환경변수 설정
 - which javac


 - readlink -f [which javac로 나온 경로값]


 - 위의 결과값으로 나온 경로에서 javac로 나온 결과값 경로는 제외하고 복사
 - sudo vi /etc/profile
 - 가장 마지막 줄에 export JAVA_HOME= 복사한 경로값 붙여넣기


 - SSH 재접속 혹은 source /etc/profile 실행 후 echo $JAVA_HOME으로 확인



4. Jenkins repo 등록 및 key 등록
 - sudo wget -O /etc/yum.repos.d/jenkins.repo https://pkg.jenkins.io/redhat-stable/jenkins.repo
 - sudo rpm --import https://pkg.jenkins.io/redhat-stable/jenkins.io.key

5. Jenkins 설치
 - sudo yum install fontconfig java-11-openjdk
 - sudo yum install jenkins

6. EC2 인스턴스 보안 그룹에 변경한 포트 번호 추가
 - 사용자 지정 TCP, 0.0.0.0/0, ::/0



7. Jenkins 실행
 - sudo service jenkins start

8. 아이피:포트번호 접속
 - 젠킨스 비밀번호 파일로 비밀번호 입력
 - sudo cat /var/lib/jenkins/secrets/initialAdminPassword

9. 젠킨스 플러그인 설치
 - 권장 설치

10. 계정 생성 / 젠킨스 URL 설정
 - 화면에서 진행

 

11. (선택사항)Jenkins 포트 및 유저 변경

 - amazon linux 기본 사용자인 ec2-user 혹은 root 계정 등으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
 - sudo vi /usr/lib/systemd/system/jenkins.service


 - sudo vi /etc/sysconfig/jenkins

 

 

 - 권한 변경(유저를 변경한 경우) 아래 ec2-user를 위에 설정한 유저명으로 변경하여 실행
 - sudo chown -R ec2-user.ec2-user /var/lib/jenkins
 - sudo chown -R ec2-user.ec2-user /var/cache/jenkins
 - sudo chown -R ec2-user.ec2-user /var/log/jenkins
 - sudo chown -R ec2-user.ec2-user 프로젝트 대상 경로
 - systemctl daemon-reload
 - service jenkins restart

포트를 변경한 경우엔 EC2의 보안 그룹에도 해당 포트 번호를 인바운드에 추가하는 걸 잊지 맙시다.